상부승모근이 많이 뻣뻣하고, 과활성화 되있는 경우에
극심한 두통에 시달리거나, 사진과 같은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기시점(origin) : 후두골(뒤통수뼈), 항인대(목덜미인대)
정지점(insertion): 쇄골(빗장뼈)외측1/3지점, 견봉
작용(action): 견갑골의 거상과 상방회전의 작용을 한다. (동심성수축할시)
신경(innervation): 제 11신경과 더부신경, 3,4번 목신경
'상부승모근, 너 뭐하는 아이니?'
사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신경이나 기시,정지점에 대해서는 몰라도 된다.
승모근은 상부,중부,하부로 나뉘는데 ( 대부분 사람들이 하나인줄 알아서, 중,하부 승모근까지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있다. )
중,하부 승모근은 상부승모근과 다른 작용들을 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 상부승모근이라는 근육은 보통 팔을 들어올릴때 작용하는데, 미용적으로 소위 '일자어깨(직각어깨)'를 원하는 사람은 상부승모근이 발달시키는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 거북목과 라운드숄더 체형을 가진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팔을 움직일때 이 상부승모근의 개입이 다른 근육군들보다 커진다. 그래서 통증이 더 심해지기도 한다.
요즘은 보톡스로 승모근의 크기를 줄이는 시술도 많은데, 굉장히 신중해야한다. 왜냐하면 승모근은 어깨와 팔을 척추와 연결해서 매달고 있는 역할을 하는데, 보톡스로 승모근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면 팔과 어깨의 움직임에서 승모근의 도움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어깨관절의 건, 인대와 회전근개(어깨를 지지하는 작은 근육들)에 부담이 가중되어 어깨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부승모근 스트레칭방법
스트레칭은 근육의 결 방향대로, 작용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면 된다.
아래에 걸어 둔 링크의 영상을 보고 참고하면 좋겠다.
https://youtu.be/wrMUWt-53zI?si=53r3CUCnYh6werWO